안녕하세요, 옥수수의 셋째 수2입니다.😊 12월은 똑같이 추운 겨울인데, 반짝이는 조명과 들려오는 캐롤이 분위기를 따스하게 만들어주는 것 같아요. 그 따스함을 하루하루 즐기다 보니 벌써 이번 주 일요일이 크리스마스네요! 크리스마스에 들으면 더 따수울 수 있는, 옥수수의 취향이 담긴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해 봅니다.🎶
🎄🎅🦌⛄🍷
다비치 - 화이트
비투비 - 울면 안 돼
f(x) - 12시 25분
더보이즈-Christmassy!
SOLE-marry marry
웬디 - Have Yourself A Merry Little Christmas
Lesile Odom Jr - My favorite things
Kelly Clarkson, Ariana Grande-Santa, Can't You Hear Me
Ariana Grande - Santa Tell Me
Michael Buble - It’s Beginning to Look a Lot Like Christmas
Norah Jones - I Dream of Christmas
Samara Joy - Warm in December
Sabrina Carpenter - A Nonsense Christmas
|
|
|
(이미지를 누르면 플레이리스트로 넘어가요🎵)
오늘은 캐롤 플레이리스트 영상의 조회 수가 훌쩍 올랐을 것 같은 '유튜브'의 미래 이야기와 두근두근 티빙의 '23년 신작 라인업을 가져왔어요. 크리스마스에 어울리는 Pop콘도 준비했으니, 끝까지 재밌게 읽어주세요!🎅 |
|
|
유튜브 북∙남미 부사장 Tara Walpert Levy가 북∙남미 담당이 되었을 당시, 5가지 영역을 우선 시 하겠다고 밝힌 바 있었어요.
1) 📱쇼츠(Shorts)와 멀티-포맷 크리에이터 생태계 구축
2) 📺스트리밍 및 커넥티드 TV
3) 🛍️쇼핑
4) 🎮게임 콘텐츠(gaming)
5) 👨💻책임경영
(responsibility, 가짜뉴스나 유해한 콘텐트들을 플랫폼에서 제외시키는 활동 등)
최근 위 5가지 영역에서 '22년에 어떤 성과를 냈고, '23년에 어떤 식으로 운영할 예정인지 밝혔는데요, 1~4번의 성과와 계획을 하나씩 살펴볼까요?
1) 📱쇼츠(Shorts)와 멀티-포맷 크리에이터 생태계 구축
- Shorts는 일간 300억 뷰를 기록할 만큼 성장했다고 해요! 크리에이터에게 수익 배분을 해주는 프로그램인 YPP(YouTube Partner Program)가 YouTube의 성공에 있어 큰 역할을 했듯이 Shorts에 도입하는 수익 배분 프로그램도 Shorts의 성공에 큰 역할을 할 거라고 예측했어요. Shorts는 기존 YPP(55%)와 달리 수익의 45%를 크리에이터에게 주고, 총 view의 기여도에 따라 수익 분배를 한다고 하네요.
- 유튜브가 🎙️팟캐스트도 준비하고 있는 거 알고 계시나요? 유튜브는 크리에이터가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숏폼, 롱폼, 음악, 팟캐스트 등)를 만들게끔 권장하고 있어요. ‘23년에는 전사적으로 각 포맷 생태계를 어떻게 하면 더 긴밀하게 엮을 수 있을지 고민 중에 있다고 하네요!🧐
2) 📺 스트리밍 및 커넥티드 TV
- YouTube TV 는 북미에서 이미 잘되고 있는 인터넷 기반의 텔레비전 서비스인데요, 해당 사업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해요.
- 美 미디어 전문 매체 THR에 따르면 22년 상반기 기준, YouTube TV의 구독자 수는 5백만 명을 기록했다고 해요. 기존 *다채널방송사업자의 구독자 규모와 비교하면 차이가 많이 나지만 **vMVPD 중에는 높은 구독자 수를 보이고 있고, 기존 MVPD들은 😖cord-cutting을 겪고 있다는 걸 감안하면 왜 Levy가 해당 사업에 자신감을 보였는지 알 수 있어요. (미국&한국 방송의 MVPD에 대해서는 다음에 특집으로 좀 더 자세히 다뤄보도록 할게요!)
*다채널방송사업자(MVPD, Multichannel Video Programming Distributor,):
지상파부터 케이블 채널까지 유통하는 사업자
**vMVPD(virtual MVPD):
인터넷 서비스를 기반으로 다채널방송사업을 영위, VOD와 Linear 채널 서비스를 둘 다 제공
|
|
|
3) 🛍️쇼핑
- 쇼핑은 APAC(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특히 잘되고 있기 때문에 APAC에서 쇼핑과 관련된 더 많은 활동들을 볼 수 있을 거라고 밝혔어요. 북∙남미에서는 라이브 쇼핑이 아직 자리 잡지 못해서 현재로서는 Shorts에 좀 더 집중할 확률이 높다고 하네요.
4) 🎮게임 콘텐츠
- 게임 콘텐츠 소비자들의 시청 행태를 고려했을 때, 게임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을 플랫폼에 독점적으로 묶어 놓는 것이 더 이득이기 때문에 그들과 독점 계약을 맺고 있다고 해요. (보통 YouTube는 자사를 중심으로 오픈 생태계를 꾸려 전체 시장 규모를 키우는 걸 잘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렇게 사용자의 소비 행태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걸 보면 철저히 사용자 중심인 걸 알 수 있어요.)
위 인터뷰를 읽으면서 유튜브는 철저하게 사용자 중심이고, 그래서 잘될 수밖에 없다고 느꼈어요. ‘23년, 유튜브가 멀티-포맷의 생태계를 한 데 엮게 되면 방송사업자들은 이를 활용하여 어떤 퍼블리싱 전략을 짤 수 있을지 벌써 궁금해지네요! 😎 |
|
|
TVING 23년 신작 👀
TVING이 ‘23년에 런칭할 신작 라인업을 발표했어요! (기대기대😊) 여러분은 어떤 작품이 제일 기대되시나요?
저희 옥수수의 기대작을 공유 드리자면, <비밀의 숲>을 재밌게 봤던 옥은 <비밀의 숲 스핀오프>를, 수1은 티빙의 대표 콘텐츠인 <환승연애3>와 <여고추리반3>을, 넷플릭스 <넥스트 인 패션>을 재밌게 봤던 수2는 <더 디저트>, <더 타임 호텔>을 기대중이에요! |
|
|
🗞️CJ ENM, 북미 FAST.AVOD 5대 플랫폼 진출 완료!
CJ ENM이 파라마운트 글로벌의 ‘플루토티비’, NBC유니버셜의 ‘피콕’, ‘삼성TV플러스’에 이어 폭스코퍼레이션의 ‘투비’, ‘로쿠’에까지 콘텐츠 공급을 시작하면서 지난해부터 진행한 북미🌎 ‘톱 5’ 무료 스트리밍 시장📺 유통망 확보 작업을 마무리했어요. CJ ENM은 오리지널 콘텐츠로 경쟁력을 올릴 계획로 볼 수 있게 된거죠.
CJ는 ‘애플TV’에도 유료 구독 채널을 출시해 북미 유통채널을 넓히고 있어요. 앞으로 북미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 사업자들과도 협업을 통해 콘텐츠 유통 구조를 다각화해나갈 계획이라고 하네요.
🗞️ 증가하는 Warner Bros. Discovery의 콘텐츠 기획, 개발 손실📉 전망치
WBD는 10월에 콘텐트 기획 및 개발에 따라 발생한 손실 전망치를 2.6조-3.3조원($2B-$2.5B)으로 예상했는데요, 이번에 그 값을 3.7조-4.6조원($2.8B-$3.5B)으로 상향 조정↗️했어요. 정확히 어떤 콘텐트들의 기획 및 개발 과정을 취소시켰는지 규명하지는 않았지만 HBO의 <Westworld>, <The Nevers> 등 다음 시즌을 캔슬시킨 시리즈들과 DC 세계관을 리부트하면서 취소된 <Wonder Woman 3> 등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돼요.
WBD는 <Westworld>나<The Nevers>와 같이 다음 시즌이 나오지 않는 콘텐트들을 중심으로 타사 FAST(무로 광고 기반 스트리밍 TV) 서비스에 판매한다고 밝혔어요. 해당 시리즈들이 자사 플랫폼에서 사라지는 만큼 WBD가 수익성에 얼마나 집중하고 있는 지 알겠네요.
🗞️ 미국 제작사 Plan B, 프랑스 미디어 대기업 Mediawan에 매각
Plan B는 미국 유명 배우 브래드 피트가 소유한 제작사인데요, (우리에게는 영화 <미나리>, <문라이트> 제작사로 더 알려져 있죠!) 이번에 프랑스 미디어 대기업 Mediawan에게 1,000억원대 밸류로 과반수 지분을 매각했어요. Mediawan은 미국의 Candle Media처럼 셀레브리티가 소유한 제작사를 찾고 있었고, 미국으로의 시장 확장을 위해 Plan B를 선택한거예요. 이번 파트너쉽으로 유럽-미국간의 연결고리를 만듦으로써 더 다양한 플래폼, 장르, 매체를 아우르는 영화와 시리즈들을 기대한다고 밝혔어요.
🗞️RedBird Capital과 IMI 조인트벤처 설립
사모펀드인 RedBird Capital과 IMI가 RedBird IMI라는 이름의 조인트벤처를 설립했어요. 스포츠, 미디어, 엔터 사업 中 스케일이 큰 기업에 투자할 예정이고 투자 규모는 1.3조원($1B)아라고 해요. CEO는 CNN과 NBCUniversal 前 CEO인 Jeff Zucker가 맡기로 했고요.
💡 RedBird Capital은 미국 사모펀드 회사로 Skydance나 LeBron James가 설립한 SpringHill Company에 투자한 바 있고, IMI(International Media Investments)는 아부다비 사모펀드 회사로 Euronews, Sky News Arabia에 투자한 바 있어요.
🗞️ 요즘 게임 업계의 핵심 키워드는? '크로스플랫폼'
크로스 플랫폼 게임이란, 사용자들이 여러 기기를 오가며 즐길 수 있는 게임🎮을 의미해요. 한국의 주요 게임사인 3N(넥슨, 넷마블,엔씨)이 준비 중인 신작 대부분도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할 예정이에요.
- 넥슨 : <카트라이더드리프트>
- 엔씨 : <TL>, <LLL>
- 넷마블 : <아스달 연대기>, <나 혼자만레벨업>
'크로스 플랫폼'을 주목하는 이유는 모객을 극대화할 수 있고, 북미와 유럽 시장을 공략(북미와 유럽은 한국과 달리 콘솔 게임 시장의 비중이 커요!)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에요. |
|
|
이번주 팡🎉 터지는 Pop콘은🍿? 넷플릭스 시리즈 <대시 & 릴리> (2020) |
|
|
📺한 줄 리뷰: 크리스마스 분위기 속에 익명의 누군가에게 받는 위로와 용기, 그 따스함과 설렘을 느끼고 싶다면!
넷플릭스 시리즈 <대시 & 릴리> 속 대시와 릴리는 서로 취향도, 성격도, 크리스마스에 대한 생각도 완전히 정반대인데요, 서점에서 우연한 계기로 얼굴도 이름도 모른 채 빨간 노트로 편지를 주고받게 돼요. 어떤 장소에 한 명이 노트를 맡겨두면 다른 한 명이 그 장소를 방문해 노트를 찾는 방식으로요. |
|
|
빨간 노트의 유일한 규칙은 서로 해보지 않은 도전을 제안하고, 그걸 실천한 후에 느낀 점을 공유하는 거예요. 성향이 완전히 다른 대시와 릴리이기에, 상대가 제안한 도전은 각자에게 꽤나 큰 결심이 필요해요. 그래서 도전은 갇혀 있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고, 그럴수록 빨간 노트에는 점점 더 솔직한 이야기와 감정이 담기게 되죠. 대시와 릴리는 각자의 변화에 놀라기도 하고, 예상치 못한 위로를 받기도 하면서 모르는 사람이 나에게 꼭 필요한 사람이 될 수 있겠다는, 생전 처음의 감정을 느끼게 돼요. 도전을 행하며 기적 같은 변화와 감정을 겪은 두 사람이 크리스마스에 실제로 만나게 될까요? 스포 하지 않을게요.😉
빨간 노트를 통해 이어지는 감정과 반짝이는 크리스마스 배경이 감동적인 시리즈라서 크리스마스를 앞둔 기념으로 가져왔어요. 현실은 기적 하나 없는 크리스마스일 수도 있겠지만, 대시와 릴리처럼 새로운 기적과 변화의 마법은 우리가 행동하기 나름일 수도 있으니까요. 여러분, 메리 크리스마스입니다!🎄🎅
어느 날 마법처럼 상황이 바뀌길 바라왔어.
이건 사람들이 잘 모르는데,
‘아브라카다브라’라는 주문은
아랍어 구절 ‘아브라 카다브라’에서 온 거야.
이런 뜻이지.
‘내가 말하는 대로 이루어진다.’
기적은, 마법은 우리 스스로 행하는 거야.
- <대시&릴리> 中 |
|
|
오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유튜브의 성과와 계획부터 콘텐츠, 노래 추천까지 가득가득 담아 보았는데요, 여러분의 풍성한 연말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모두 Merry Christmas 입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