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옥수수의 둘째 수1입니다.
🎊Happy New Year,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2년 마무리는 잘하셨나요? 다들 제각기의 모습으로 2022년 마지막날을 보내셨을 것 같은데요, 저는 집에서 👨👩👧👧가족들과 함께 저녁을 먹었습니다!
이제 2023년이 시작됐네요! 새해가 되면 다들 하는 의식(?)이 있으신가요? 저는 많은 사람들이 그러하 듯 다이어리를 사고 다이어리 첫장에 올 한해 목표를 리스트업해요. 목표에는 항상 다이어트와 다독하기가 들어가는 것 같은데, 언제나 달성하기가 쉽지 않네요.🙄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는 모든 분들이 올해에는 💻일, ❤️사랑, 🕒삶 속에서 모두 평안하고 무탈하시면 좋겠습니다. 더 많이 사랑하고 더 많이 사랑받는 한 해 되시길 소망할게요.🍀 |
|
|
📌Vox 7분 안에 보는 2022년 : 인구 80억 명 도달부터 아르헨티나 월드컵 우승까지 '22년을 7분 안에 요약해 주는 영상입니다.
📌Google 검색으로 보는 2022년 : 올해 가장 많이 검색된 문구는 “Can I change...” 라고 하는데요, 이를 테마로 만든 영상입니다.
📌중앙일보 아듀(ADIEU) 2022 : 중앙일보에서 준비한 2022년 이슈 결산입니다.
📌Netflix 2022년 되감기 : 영상 플랫폼답게 '22년의 콘텐츠를 '되감는다'는 컨셉으로 제작한 영상인데요, 국내 작품은 <스물다섯 스물하나>, <지금 우리 학교는> 클립이 포함되어 있네요!
- Netflix는 2022년 가장 인기 있었던 영화 및 시리즈 Top 10도 발표했는데요,
非영어 시리즈 부문 Top 10 중 1위 <지금 우리 학교는>, 2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8위 <사내맞선>, 한국 작품은 총 3개가 포함되었답니다🙌
📌와이즈앱 국내 모바일앱 순위 : 가장 많이 사용한 앱부터 가장 많이 성장한 앱까지, 모바일 앱 데이터를 분석하는 와이즈앱에서 제공하는 '22년 결산입니다.
- 20대부터 40대까지 가장 많이 사용한 앱은 카카오 - YouTube - 네이버 순이었다고 해요. 4위부터 연령별로 다른데요, 20대는 Instagram, 3/40대는 쿠팡이었다고 하네요. 또한, 20대는 Top 10에 네이버웹툰, TOSS가 포함되어 있는 반면, 3/40대는 Samsung Pay와 네이버밴드가 포함되었어요.
- 동영상 앱만 따로 보면, YouTube(4500만) - Netflix(1150만) - TikTok(630만) - 쿠팡플레이(400만) - TVING(375만) - Wavve(340만) - Twitch(260만) - Disney+(190만) - 아프리카TV(190만) - V LIVE(130만) 순이라고 하네요🤩
(괄호 안 숫자는 월 평균 사용자)
- 소셜 앱은 네이버밴드 - Instagram - Facebook 순이라고 하는데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면 더 자세하게 보실 수 있어요!
📌 Media Partners Asia 2022 아태지역(APAC) 주요 콘텐츠: 리서치 업체인 Media Partners Asia에서 1년간 아태지역 10개국 (일본, 한국, 싱가폴 等)의 4만 명 비디오 스트리밍 사용자들의 콘텐츠 소비 데이터를 분석했다고 하는데요. 사용자를 유입하고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로컬 콘텐츠가 가장 중요하다"는 당연한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지만, 아태지역 사용자들이 공통적으로 즐긴 콘텐츠 장르도 발표했어요:
- 🇰🇷 한국 '드라마'와 '로맨스' 장르 드라마
- 💡여기서 '드라마'는 특정 장르에 기대지 않고 등장인물들의 서사나 감정선에 보다 집중한 장르를 의미해요
- 🇯🇵 일본 애니메이션
- 🇺🇸 미국 SF와 판타지 장르 드라마
- 🇰🇷 한국 범죄 및 스릴러 장르 드라마
- 🇺🇸 미국 코미디 장르 드라마
한국發 콘텐츠가 전체 시청량(viewrship) 중 30%나 차지했다고 하니 '22년은 정말 "K"가 핫한 알파벳이었던 거 같긴하네요! 23년에도 알파벳 "K"가 계속 핫하길 바라면서! |
|
|
✨Pop-Con 50
주로 미디어와 엔터 산업에 알려진 '주요인물'들은 ✨스타들이죠. 물론 스타들도 너무 중요한 존재이긴 하지만 산업을 움직이는 주요인물들 중 스타가 아닌 경영진, 프로듀서, 투자자들도 있잖아요. 그런 인물들을 조명하는 일환으로 美 미디어&엔터 전문 매체인 Variety는 매년 미디어&엔터 주요 500인의 비즈니스 리더를 뽑아 Vareity 500👨💻을 발표하는데요, 저희도 여기에 영감을 받아 국내 미디어&엔터 주요 50인의 비즈니스 리더를 추려봤습니다😊.
저희도 매년 진행할 예정이고,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이니 의견 있으시면 아래 메일로 의견주세요!
|
|
|
🗞️CJ ENM STUDIOS, 약 1200억원 규모 유상증자 단행
CJ ENM 산하 콘텐츠 제작사(본팩토리, 제이케이필름, 블라드스튜디오, 엠메이커스, 모호필름, 용필름, 만화가족, 에그이즈커밍 등)를 합병해 만든 CJ ENM STUDIOS가 약 12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했어요. 콘텐츠 제작사에 소속된 여러 제작자와 주주가 주로 출자에 참여했는데요, 제작자 인력 유출을 막아 제작 역량을 유지하기 위한 방향이라고 풀이되고 있어요😮. 1주당 가격이 35만 원으로 책정되었기 때문에 기업가치는 약 8000억 원을 상회한다고 하네요.
🗞️Amazon, 별도 스포츠⛹️♀️ 스트리밍 앱 런칭 논의 중
아마존이 스포츠 스트리밍 앱을 별로도 런칭하는 것을 논의 중에 있어요. 1)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에 추가 요금을 지불하면 스포츠 경기를 시청할 수 있게 하는 방안에 더해 2)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를 꼭 구독하지 않아도 별도 유료 앱을 설치하면 스포츠만 따로 볼 수 있게 하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는 거죠.
이는 중계권료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되는데요, 현재 아마존은 미식축구리그(NFL)와 목요일 저녁 경기 중계권 계약을 맺은 바 있어요. 10년 장기계약에 매년 약 1.3조 원($1B)을 지불해야 하는데 별도 유료 앱을 통해 이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 거죠.
이 엄청난 비용을 내고서라도 스포츠 콘텐트를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CEO인 Andy Jassy가 스포츠를 특별한 콘텐츠 장르라고 생각하기 때문인데요, 북미지역에서 가장 많이 시청한 프로그램 리스트의 75%가 스포츠 콘텐츠👀라고 해요. 그래서 자본이 많이 들어가는 타 사업 부문(식재료, 전자 기기 등)에서 비용 절감을 하더라도 스포츠에는 지속 투자하려는 의지가 상당하다고 하네요!
🗞️TVING의 글로벌🌍 전략! 오리지널 콘텐츠 판권 판매에 무게중심 둔다.
티빙이 글로벌 전략을 발표하면서 오리지널 콘텐츠 판권 판매에 무게를 두겠다고 밝혔어요. 티빙은 라인과 함께 ‘22년은 일본·대만 시장에, ‘23년은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 직접 진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었는데요, 하지만 업계에서는 직접 진출보다는 현지 OTT 혹은 FAST 플랫폼과 협업하여 브랜드관 형태로 진출하는 방안에 중심을 두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고 보고 있어요🧐 (파라마운트가 티빙에 브랜드관으로 진출한 것처럼요!) 그렇게 되면 ‘22년처럼 ‘23년에도 판권 계약, 포맷 수출 등에 집중하게 되겠죠? (’22년에 <유미의 세포들>은 비키와 판권 계약을 맺은 바 있고, <환승연애>와 <제로섬세임>의 경우, 서유럽 및 이스라엘에 포맷을 수출했어요)
🗞️RBW, 얼반웍스 지분 50% 인수
마마무가 소속된 엔터사로 유명한 RBW가 얼반웍스 지분 50%를 위지윅스튜디오로부터 인수했어요. 얼반웍스는 <런닝맨>(SBS), <나쁜녀석들>(OCN) 等을 제작한 예능 및 드라마 제작사예요. ‘21년 11월, 위지윅 스튜디오에 60억 규모로 인수된 바 있어요.
🔍RBW는 방송, 아티스트 OEM(아티스트 개발 및 제작 대행) 사업 등을 영위 중에 있어요. ‘21년 3월에는 WM엔터(오마이걸 소속)를, ‘22년 1월에는 DSP미디어(카라 前 소속)를 인수하면서 엔터 사업을 적극 확장하고 있죠. ‘22년 6월에는 컴투스(위지윅 모회사)와 위지윅으로부터 230억 원을 유치받기도 했어요. (컴투스와 위지윅은 현재 2대 주주)
CCS Insight에 따르면, '22년 글로벌 VR기기 매출이 ‘21년에 비해 12%나 감소했다고 해요. ‘21년의 VR기기 매출이 워낙 높았기 때문에📈 ‘22년 매출이 크게 감소한 것처럼 보이는 것이라 해석하고 있어요 (21년 145억원[$11M] → 22년 125억원[$9.6M]).
‘23년 VR기기 매출은 약 148억($11.4M) 정도로 전망하고 있는데요, ‘23년 Apple에서 VR기기를 출시할 거라는 루머가 있는데 이 계획이 가시화되면 VR시장의 판도가 크게 바뀔 수도 있어 그때는 전망치와 크게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어요. |
|
|
이번주 팡🎉 터지는 Pop콘은🍿? 뮤지컬 이프 덴(IF/THEN) |
|
|
🎬한 줄 리뷰: '만약' 내가 그때 다른 선택을 했다면 어땠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린 만날 운명이었을거야.
📓 공연 정보
- 제작: 쇼노트
- 연출: 성종완
- 캐스팅: (엘리자베스) 정선아, 박혜나, 유리아 , (조쉬) 신성민, 조형균, 윤소호, (루카스) 에녹, 송원근
- 장소: 홍익대학교 대학로 아트센터
- 공연기간: (초연) 2022.12.08 ~ 2023.02.26
- 관림시간: 165분(인터미션 15분)
|
|
|
오랜만에 강력 추천하고 싶은 뮤지컬을 가져왔습니다. 올해 한국에서 초연을 선보인 브로드웨이 뮤지컬 ’이프 덴(IF/THEN)’인데요. 저에겐 캐스팅 라인업만 보고도 기대감이 증폭된 뮤지컬 중 하나였어요. ’엘리자베스‘에 캐스팅된 세 배우 모두 파워풀한 가창력과 탄탄한 연기력으로 오랜 시간 사랑 받아온 유명한 뮤지컬 배우들이거든요.
’엘리자베스‘의 사소한 선택 하나로 ’엘리자베스‘의 삶은 ’리스‘와 ’베스‘ 두갈래 나뉘게 돼요. 그리고 그 둘의 양상은 매우 달라요. 작은 선택이었지만, 그 선택으로 얼마나 두 인생이 다르게 흘러가는지 보는 것이 이 뮤지컬의 묘미예요. 동시에, 이 작품은 도전적이고 주체적인 현대 여성의 커리어와 사랑, 우정에 대한 이야기예요. 자신에게 닥친 선택과 위기의 순간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겨내는지 때론 담담하게, 때론 폭발적으로 노래하는데요. 데이터와 통계를 중시하는 ‘엘리자베스’가 어떤 고민과 감정을 가지고 행동하는지 섬세하게 표현이 돼 있어 쉽게 공감하고 몰입할 수 있을 거예요. 또, 시시각각 ‘리스’에서 ‘베스’로 ‘베스’에서 ‘리스’로 변하는 배우와 이를 매끄럽게 연출한 연출가에게도 감탄하게 될 거예요.
참고로,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버전의 전곡 OST 앨범은 이미 발매 됐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넘버 먼저 들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제가 좋아하는 🎶넘버 중 하나를 공유하며 이만 마칠게요.
(현장에서 보면 더 전율과 감동이 있을거예요. 현장에서도 즐겨보시길 바랍니다.)
|
|
|
저희 옥수수는 새해 소망 중 하나로 너 나 할 것 없이 뉴스레터를 꾸준히 키우는 걸 꼽았어요. 오늘 뉴스레터는 그 소망의 첫걸음이었기 때문에 2022년 이슈&콘텐츠&인물 총정리부터 최근 이슈와 뮤지컬 추천까지 열심히 담아봤는데, 2023년🐰의 첫 뉴스레터 어떻게 읽으셨나요?😊 새해에는 CnB 뉴스레터가 더 많은 인사이트를 드릴 수 있도록 열심히 달려보겠습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
|